- 영문명
- Role of Child Art Teacher Based on Semiotics of Deleuze: Focusing on ‘Proust and Symb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민주(Seo, Min Ju) 임부연(Lim, Boo-Y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793~8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들뢰즈 철학에서 기호론을 고찰하고 예술교육적 측면을 조명함으로써 유아예술교사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들뢰즈의 기호론에 대한 일반적 배경을 설명하고, 이후 프루스트와 기호들에 나타나는 기호의 유형을 교육적인 코드와 연관 지어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들뢰즈 기호론에 기초한 유아예술 교사의 역할은 기호와의 마주침을 이끄는 감각교육의 제공자, 민감한 기호 감식자, 잠재성과 현실성의 공명을 통한 유의미한 예술경험 제공자, 일상에서의 자기 삶을 발견하는 예술기호의 촉진자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호와의 마주침을 이끄는 몸을 매개로 한 감각교육의 중요성, 배움의 대상과 관계한 기호들에 민감함과 배움의 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교사 스스로 일상에서의 자기 삶을 발견하는 예술기호의 촉진자로서의 유아예술교사가 지향해 가야할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 the semiotics in the Deleuze s philosophy was examined and the role of child art teacher was explored by focusing on the art educational aspect. Particularly , through the type and meaning of symbos based on Proust and Symbols of Deleuze s semiotics, the importance of child art teacher s role was explained focusing on possessing and learning. To do that, in this study ,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Deleuze s semiotics was explained and the type of the symbols appeared in Proust and Symbols was interpreted relating them with the educational code. The role of child art teatcher represented through this interpretation and the explaination process was presented as a provider of sensory education which leads to the encounter with the symbol, an identifier of sensitive symbol, a significant art experience provider through the resonance of potentiality with reality and a promoter of art symbol, who discovers his/her own life in the daily living. Finally ,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the role that the importance of sensory education, which mediated with the body leading the encounter with the symbol and the importance of the sensitiveness of the symbols, which made the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of learning are enphsized and that the child art teacher should aim as a promotor of art symbol who discovers his/her
own life in the daily living.
목차
Ⅰ. 서 론
Ⅱ. 들뢰즈 기호론에 대한 일반적 이해
Ⅲ. 들뢰즈의 기호론적 관점에서 본 유아예술교사의 역할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