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xical Maturity of School-age Poor Read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란(Lee, Hee R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113~13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읽기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쓰기 자료에 나타난 어휘성 숙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7월-9월 3개월 간 부산 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읽기부진 아동 14명과 이들과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4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이야기 쓰기 과제를 수행하게 한 후, 그 자료에서 고빈도 학습도구 어휘를 포함한 다섯 가지 어휘 표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부진 아동이 일반 아동과 비교해 학습도구 어휘 사용이 적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확인 하였다. 하지만, 한자어와 접속부사, 부사, 인지동사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부진 아동의 이야기 쓰기 자료에 나타난 어휘성 숙도를 분석함으로써, 그 가운데 학습도구 어휘 사용에 제한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후 읽기부진 아동을 위한 언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임상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riting performance with regard to vocabulary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school-age poor readers. Fourteen children with poor reading ability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and 14 typically developing(TD)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asked to rewrite a story “Frog, Where are you, ”. The written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by literate lexicon, such as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Sino-Korean words, cognitive verbs, adverbs, and conjunctive adverb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 frequency academic vocabulary among the two group. However, in Sino-Korean words, cognitive verbs, adverbs, and conjunctive adverb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cademic vocabulary in Korean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 of literate lexicon for the elementary poor read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