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Lecture Quali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경민(Choi, Kyeong-Min) 백제은(Bak, Ja-eun) 김경현(Kim, Ky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131~1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 질과 학습 만족도에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상승시키는 강의 질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2학기에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 3개교를 선정하여 재학생 620명에게 강의 질,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 각 요인들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강의 질의 하위변인 중 수업내용은 학업적 자기효능 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용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 인(과제난이도 선호도,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강의 질의 하위변인 중 학습환경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효능감에만 정적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의 질의 모든 하위변인(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 경)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강의 질(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 경)과 학습만족도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과제난이도 선호도, 자기 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의 질 중 수업내용과 학습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학 업적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강의 질 개선에 있어서 교수자의 노력뿐만 아니라 학교 측면에서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 침된 학습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승효과를 위해 강의 질과 학습환경의 개선이 대학교육의 질 을 향상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 among lecture quality ,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pecific information on improving academic lecture level by checking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lecture quality and academic satisfaction. This study sets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First, what effects do the lecture quality (lecture content, interaction, lecture environment) hav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lecture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confidence)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 Second, does the academic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lecture quality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containing lecture quality ,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scale targeting 620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eollabuk-do.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 Firstly , the lecture content of quality showed that it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lecture content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 all sub -factors (lecture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 confidence), and the academic environment which is another element of lecture qua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econdly, all the academic self-efficacy s sub -facto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lecture quality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Through the study s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the professors effort and the universities systematic support on improving the lecture quality to enhance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Such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ffer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education quality .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