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view on the Change and Implication of the Korea’s Agriculture Investments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조성제(Sung-Je Cho) 유병호(Byung-Ho Yoo)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26집 제4호(통권60호), 355~3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한국 농업은 시장개방과 무역자유화 파고를 넘어 새로운 산업으로 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최근 자유무역협정 체결과정을 겪으면서 한국 농업은 위기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지만 위기극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제도들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농업부문의 생산성향상과 안정적인 소득증대를 이룩하기 위한 정부를 비롯한 민간과 농가단위의 투·융자 프로그램은 농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제도적인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농업부문에 대한 투·융자 프로그램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시대별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소득증대에 대해 미친 영향 및 정책시사점을 도출하여 농업부문 투·융자의 미래방향과 정책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새로운 농업경쟁력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한국 농업의 중장기적인 투·융자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적 투·융자 모델을 구축하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Korean agriculture could be periodically classified by changes in economic circumstances and policies or by changes in the agricultural structure.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the agriculture investment and loan policies and their implemen-tations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periodic changes in agricultural circumstances, investment supporting programs of agriculture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and analytical results of mid-term and long-term supporting policies. It will analyze the trend of Korean agricultural investment for the last 30 years, compare it by sectors-public, private, and farm household-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 농업 투·융자 부문의 변화와 역할
Ⅲ. 한국 농업의 분야별 농업 투·융자 변천과 역할
Ⅳ.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