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Emotional Exhaus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tel Employees: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유승억(Yoo Seung Eok)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2권 제5호, 343~3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종사원들의 조직-개인 적합과 정신적 탈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신적 탈진과 개인-조직 적합이 직무만족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67명의 국내 호텔종사원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델링 방법인 Mplus Version 7.4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정신적 탈진은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조직 적합은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에 의하면 정신적 탈진은 직무만족을 통하여 이직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정(+)의 매개효과가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에는 유의적인 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조직적합은 직무만족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매개효과가 있으며, 이직의도에 유의적인 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1)whether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organization fit have effect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directly, 2)whether employees’ job satisfaction has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 3)whether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organization fit ha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job satisfaction.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 that emotional exhaus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person-organization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Seco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significantly. Third, emotional exhaus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job satisfaction. Finally, person-organization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job satisfac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