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to Emotional Solidarity in Rural Community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용순(Park Yong Soon) 심원섭(Shim Won Seop)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2권 제5호, 399~42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촌관광을 위해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농촌관광 참여기간에 따라서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장소애착과 정서적 연대와의 영향관계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총 35일간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77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소애착을 구성하고 있는 4개의 요인 중 장소의존성과 장소정체성은 공히 두 집단에서 정서적 연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장소애정성과 장소사회결합성은 정서적 연대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에 집단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농촌마을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 및 물리적 특성 등의 기능적 특성 외에 농촌마을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농촌마을이 가지고 있는 공동체적인 고유한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은 해당 마을의 구성원이 자신을 호의적으로 대하더라도 감정적으로는 여전히 지역주민과 동화되지 않는 타자로서의 자신을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농촌관광의 방향설정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parated into two groups in specific rur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where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to emotional solidarity, and also explored the differences of influence among the two groups. A total of 177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urban residents who visited the specific community for 35 days. As a results, Among the four factors of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y and place identity was not identified influence on emotional solidarity. On the other hand, place affection and place social bond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onents of emotional solidarit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following: Rural community visitors regard soci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members as the most important as well a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in rural communities.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confirming that visitors to rural communities perceive themselves as others who do not assimilate with community members emotionally even though members of the community treat themselves positively, and it will be able to provide very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community based tourism development in South Kore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