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difference in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self-direct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민혜영(Min hea-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3호, 677~6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자기효능 감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위치한 5개 대학 유아교육과 졸업반 402명이었으며, 본조사는 11월 20일에서 3주간 실시하 였고, 설문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 주도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소 중 주체성, 미래확신성, 목표지 향성, 주도성에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위의 하위요소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인지조절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 난이도선호에 차이가 있었으며, 동기 및 행동조절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성에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향후 유아교사로 배출될 예비유아교사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증진을 위해 보다 심도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여 지길 고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o be a base material for developing curriculum of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targets were 402 graduating class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5 colleges in Seoul, Incheon, and Gyoenggi are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differences in independence, confidence about the future, goal orientation, and initiative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group which has higher skill of self-directed learning ha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se sub-elements than the other group. Secondly, there are differences in 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preference in level of task difficulty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 of cognitive control. Also there are differences in self-control efficacy, preference in level of task difficulty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 of motivation-control and action-control.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the base material for developing in-depth curriculum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uture.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