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Ways to Develop and Measure Gender Equality Indicators of Military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전기택(Ki-taek Jeon) 안상수(Sang-soo Ahn):한진영(Jin-young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6 연구보고서 (수시과제), 1~118쪽, 전체 1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국문 초록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이 연구의 목적은 군 조직의 양성평등교육 계획 수립과 평가에 필요한 군 조직의 양성평등 지표를 개발하고, 이들 지표의 생산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임.
□ 군 조직에서 실행가능하고 실효성 있는 맞춤형 양성평등교육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군 조직의 특성을 반영하는 양성평등 지표를 통해 단위 부대와 부대구성원 개인의 양성평등 실태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 기존 양성평등 지표 현황 검토
□ 군 조직 양성평등 지표(안) 설정
□ 시범조사 결과 분석
□ 군 조직 양성평등 지표 생산?활용?관리방안
나. 연구방법
□ 문헌연구
- 국내외의 여군 인력 활용 현황
- 국내외의 기존 양성평등지표의 구성, 생산 현황 등
□ 전문가 자문회의
- 군 조직 양성평등 지표(안) 검토
- 군 조직 양성평등 지표 생산을 위한 시범조사표 등 검토
- 군 조직 양성평등 지표 생산, 관리 및 활용 방안 검토
□ 시범조사 실시
- 군 조직 양성평등 지표 생산을 위한 시범조사 기획
- 군 조직 양성평등 지표 생산을 위한 시범조사표 설계 등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nder equality indicators of military organizations needed to establish and evaluate plans for their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to prepare ways to produce and manage these indicators. To achieve this purpose, we researchers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using female human resources for national defense in Korea and overseas and major gender equality indicators used at home and abroad, and developed gender equality indicators of military organizations (proposal). We also conducted a pilot survey to produce gender equality indicators of military organizations (proposal). This study proposes gender equality indicators of military organizations (proposal) as indicated below.
목차
Ⅰ. 서 론
Ⅱ. 국내외의 여군 인력 활용 현황
Ⅲ. 군 조직의 양성평등지표 개발
Ⅳ. 시범조사 결과
Ⅴ. 정책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