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Visu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and Verb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the Children with Asperger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박지현(Park, Ji Hyun) 최경순(Choi, Kyung Soon) 황민아(Hwang, Mi Na)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0권 제1호, 109~11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아동의 기본적인 추론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각유추추론과제와 언어유추추론과제에서의 유추추론수행능력을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에 재학중인 아스퍼거 아동 10명과 일반아동 10명에게 난이도를 일치시킨 시각유추추론과제와 언어유추추론과제를 실시하여 정반응을 조사하였다. 아스퍼거 아동은 시각유추추론과제와 언어유추추론과제를 합한 총점에서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수행을 보여 과제 유형 주효과와 집단 주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과제 유형에 따라 집단에 따른 수행 패턴의 차이가 있어 과제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일반아동은 언어유추추론과제 수행이 더 우수한 반면, 아스퍼거 아동은 시각유추추론과제 수행이 언어유추추론과제 수행보다 더 우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아스퍼거 아동은 비교적 단순한 유추추론능력은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언어유추추론능력보다는 시각유추추론능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o comparison of visu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and verb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asperger,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with different analogical reasoning types. The subjects were 1, 2, 3 grade primary-child with asperger and chronolgical age equivalent normal children. In the comprehension of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main effects in groups and typ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in groups and types. The children with asperger exhibit high performance visual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than verbal alogical reasoning ability. The children with asperger s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exhibit as good as typically developing peers and they has better performances in visual analogical reasoning types than verbal analogical reasoning typ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자료 분석
4. 연구 결과
Ⅲ.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