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스테노트로포모나스말토필리아 안내염: 임상양상, 항생제 감수성과 예후

이용수 4

영문명
Endophthalmitis Caused by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after Cataract Surgery: Clinical Features, Antibiotic Sensitivities, and Outcome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재민(Jae Min Kim) 조한주(Han Joo Cho) 김형석(Hyung Suk Kim):한정일(Jung Il Han) 이동원(Dong Won Lee):김철구(Chul Gu Kim) 김종우(Jong Woo Kim)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6, 663~669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안내염의 임상 경과와 항생제 감수성, 그리고 치료 결과에 대해서 보고하 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8년 1월과 2015년 12월 사이에 본원으로 안내염으로 의뢰되어 치료받은 환자 중 세균배양검사에서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안내염이 확진된 환자 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Stenotrophomonas maltophilia는 연구 기간 동안 확진된 그람 음성균 관련 안내염 중(총 23안)에서 Pseudomonas aeruginosa (14안) 다음으로 두 번째로 흔한 원인균(6안)이었다. 대상안들의 초진 시력은 light perception부터 0.02까지였다(평균 logMAR 1.72 [snellen equivalent; 20/1,049]). 초기 치료로서 모든 환자에서 vancomycin과 ceftazidime을 병합한 intravitreal antibiotics injections가 시행되었는데 5명에서는 일차적으로 유리체 절제술이 병행되었고, 1명에서는 일차적 항생제 주입 후 유리체 절제술이 추후에 추가적으로 시행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대상안 6안 모두 Ceftazidime과 Levofloxacin에 감수성을 보였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에는 2안에서 감수성을 보였다. 치료 후 6명의 대상안 중 5안에서 0.1 이상의 최종시력을 보였으며, 치료 후 초진시력에 비해 나쁜 시력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그람 음성균 관련 안내염의 두 번째로 흔한 원인 균주였으며, 대상안 모두 ceftazidime과 Levofloxacin에 감수성을 보였다. 즉각적인 치료는 기존에 보고되었던 안내염의 치료 결과와 유사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scrib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treatment result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in 6 cases of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endophthalmit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6 eyes of 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endophthalmitis. Specifically, we considered each patient s age, sex, past history, visual acuity, hypopyon, treatment, and prognosis. Results: For our study, we considered patients trea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2008 to December 201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6 eyes) was the second most common gram-negative bacteria cause of total bacterial endophthalmitis while Pseudomonas aeruginosa (14 eyes) was the most common gram-negative bacteria cause during the same period. Visual disturbance was the dominant symptom being found in all 6 patients. Other symptoms include ocular pain and hypopyon. The initial visual acuity was light perception (1 patient), hand motion (3 patients), finger count (1 patient), and 0.02 (1 patient). Excluding the 1 patient with light perception, the mean initial visual acuity was logMAR 1.72 (Snellen equivalent; 20/1,049). Overall, 5 patients underwent vitrectomy and intravitreal antibiotics injection, while, the remaining other patient was treated with intravitreal antibiotics injection, followed by vitrectomy. All 6 patients showed sensitivity to Ceftazidime and Levofloxacin and 2 patients showed sensitivity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onclusions: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endophthalmitis was the second most common gram negative organism to cause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All 6 of the tested isolates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ceftazidime and levofloxacin. Urgent treatment outcomes were similar to previous repor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6):663-669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민(Jae Min Kim),조한주(Han Joo Cho),김형석(Hyung Suk Kim):한정일(Jung Il Han),이동원(Dong Won Lee):김철구(Chul Gu Kim),김종우(Jong Woo Kim). (2017).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스테노트로포모나스말토필리아 안내염: 임상양상, 항생제 감수성과 예후. 대한안과학회지, 58 (6), 663-669

MLA

김재민(Jae Min Kim),조한주(Han Joo Cho),김형석(Hyung Suk Kim):한정일(Jung Il Han),이동원(Dong Won Lee):김철구(Chul Gu Kim),김종우(Jong Woo Kim).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스테노트로포모나스말토필리아 안내염: 임상양상, 항생제 감수성과 예후." 대한안과학회지, 58.6(2017): 663-66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