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Intraocular Pressure via Goldmann-applanation Tonometry and TonoPen i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Accompanying Restrictive Strabismu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준식(Jun Sik Kim) 이은지(Eun Ji Lee) 김남주(Namju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6, 685~69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목적: 제한사시를 동반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과 TonoPen
접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을 비교하 고, 그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갑상샘눈병증으로 진단받은 50명 50안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와 TonoPen
접촉안압계로 각각 안압을 측정하여 비교하 였다. 안구운동제한 정도, 사시각, 안구돌출계검사, 중심각막두께, 굴절오차, 갑상샘호르몬 수치 등을 포함하여 두 안압계의 안압측정치 차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는 Tonopen
접촉안압계에 비해 안압을 높게 측정하는 경향을 보였고(각각 16.1 ± 4.7, 13.8 ± 4.5 mmHg, p<0.001), 안구의 수직운동제한 정도가 심할수록 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37). 두 안압계의 안압측정치 차이의 절대값은 안구의 수직운동제한 정도가 심할수록(p=0.027), 수직방향 사시각이 클수록(p=0.021), 그리고 중심각막 두께가 두꺼울수록(p≤0.031)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안구의 수직운동제한을 동반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압 측정 시, 안압계 종류에 따른 측정치의 오차를 고려해야 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d using Goldmann-applanation tonometry (GAT) and Tonopen ??
tonometry and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asurement difference in patients with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TAO)-related restrictive strabismus.
Methods: In 50 eyes of 5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TAO, IOP measurements were taken using both GAT and a Tonopen ?? and were subsequently compared between the devices. Factors influencing the measurement difference between the devices were determined, including the restriction of eyeball movement, eyeball deviation, exophthalmometry, central corneal thickness, refractive errors, and blood thyroid hormone levels.
Results: In the TAO patients, the GAT-measured IOP was higher than for Tonopen ?? (16.1 ± 4.7 vs. 13.8 ± 4.5 mmHg, respectively, p < 0.001). As the restriction of vertical eyeball movement increased, the IOP difference between the devices also increased (p = 0.037). The absolute IOP difference between the devic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trictions in vertical eyeball movement (p = 0.027), degree of vertical strabismus (p = 0.021),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p ≤ 0.031).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TAO accompanying vertical eyeball movement restriction, potential errors in IOP measurements should be considered between the different IOP-measuring devi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