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Surgical Outcomes in Recurrent Ex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 Jung Kim) 김승현(Seung 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6, 692~69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목적: 재발외사시에서 수술의 성공률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 수술 후 재발되어 재수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60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60명의 환자 중 43명이 한 개 근육의 수술을 받았고, 나머지 17명이 두 개 근육의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최소 1년간 재수술 없이 원거리에서 내편위가 5PD 미만, 외편위가 10PD 미만으로 유지되면 수술 성공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한 개 근육 수술군과 두 개 근육 수술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에 수술 당시 연령, 성별, 추적 관찰 기간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재수술 전 평균 원거리 및 근거리 사시각은 한 개 근육 수술군에서 20.5PD, 20.3PD, 두 개 근육 수술 군에서 27.3PD, 27.1P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재수술 성공률은 한 개 근육 수술군에서 95.3%, 두 개 근육 수술군에서 58.8%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수술의 성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적절한 재수술 시기를 분석한 결과 사시각의 크기가 성공률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재발외사시 환자에서 사시각의 크기에 따른 수술의 성공률에 대한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ROC) curve를 분석해 본 결과 Area under the curve는 0.855로 높은 판별력을 보였고, 재수술을 고려해야 하는 적절한 변곡점에 해당하는 사시각은 25PD 이내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간헐외사시 수술 후 재발이 발생하고 사시각의 진행이 관찰된다면 25PD 미만의 사시각을 보일 때 하나의 근육을 수술하는 것이 수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mprove the success rate in patients with recurrent exotropia.
Methods: A total of 60 patients who had undergone reoperation for recurrent exotropia and had at least 1 year of follow-up after surger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 total, 43 patients in the group with one-muscle surgery had undergone either un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or un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the other 17 patients in the group with two-muscle surgery had undergone either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or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with medial rectus muscle resection of contralateral eye. The main outcome measure was final success rate, which was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In this study, 41 (95.3%) of 43 patients in the group with one-muscle surgery had successful outcomes, while 2 (4.7%) had undercorrection at the final follow-up examination. On the other hand, 10 (58.8%) of 17 patients in the group with two-muscle surgery had successful outcomes, 5 (29.4%) had undercorrection, and 2 (11.8%) had overcorrection. The success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p = 0.001). In addition, preoperative deviation had the largest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ROC) curve for the success rate and exhibited an optimal balance of bo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using a cut-off value of 25 PD.
Conclusions: Final success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one-muscl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exotropia.
Surgical outcomes are expected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deviation of less than 25 P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