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Acute Macular Neuroretinopathy in a Young Mal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수진(Su Jin Kim) 박영민(Young Min Park) 조현경(Hyun Kyung Cho) 허현도(Hyoun Do Huh) 박종문(Jong Moon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6, 751~75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목적: 젊은 남자에서 감기 증상 후 발생한 단안의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5세 남자 환자가 갑자기 좌안의 중심부 시야 결손이 발생하여, 구후 시신경염증 의심하에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환자는 증상발현 2일 전부터 감기증상이 있었으나, 그 외 특이병력이 없는 건강한 젊은 남자였다. 내원 당시 최대교정시력은 양안 모두 1.0이 었고, 동공반응은 정상이었으며, 상대구심동공결손은 관찰되지 않았다. 눈운동 검사상 모든 안구운동 방향에서 정위를 보였고, 안구 움직임 시의 통증은 호소하지 않았다. 색각검사는 양안 모두 정상이었다. 시야검사상 좌안의 중심옆 맹점이 관찰되었고, 안저 검사상 황반 삼출물이 보였으며,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상에서 외망상 층의 고반사 병변 및 염증세포의 침윤을 보였다. 형광안저촬영상 망막에는 특이소견이 없었으나, 시신경의 후기형광누출이 관찰되었 다. 환자는 좌안의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으로 진단받고 스테로이드 경구약(prednisolone, solondo) 60 mg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경과 관찰하면서 주관적인 시야결손의 호전과 함께 시야검사상의 중심옆 맹점이 호전되었고, SD-OCT 상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은 소실되면서 외망상층의 위축 양상이 관찰되었다.
결론: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이를 검사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a rare case of unilateral acute macular neuroretinoapthy in a young male.
Case summary: A 35-year-old male presented with a 2-day history of paracentral scotoma. He had suffered for 2 days from a flu-like illness, and hi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20 OD and 20/20 OS. Pupillary reflex was normal and no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were not found. Ocular movement test was normal and pain on ocular movement was not noticed.
Ophthalmoscopic examination of the left eye revealed multiple exudates lining the nasal macula toward the fovea. A Humphrey visual field study identified small paracentral scotoma.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Heidelberg Engineering, Heidelberg, Germany) of the lesions showed a hyper-reflective lesion located in the outer plexiform layer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Fluorescent angiography was normal in the macula but showed late leak at the disc. The multifocal electroretinogram (mfERG) showed decreased foveal P1 amplitude in the left eye.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cute macular neuroretinopathy and was treated with 60 mg of prednisolone. His subjective symptoms were improved, the paracentral scotoma disappeared, and the lesions appeared different upon SD-OCT; specifically, the hyper-reflective lesion disappeared and the outer plexiform layer showed thinning.
Conclusions: Acute macular neuroretinopathy is a rare disease, and we report a case using SD-OCT and mfER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