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 combined Intervention of social story and video feedback on conflict-resolving skill of High-Functioning Autism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박가은(Park, Ga-Eun) 김소희(Kim, So-Hee)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4권 제3호, 105~1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 이야기와 비디오 피드백을 사용한 중재가 고기능 자폐 장애 아동의 갈등 해결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 초등학교에 2학년에 재학 중인 9세 고기능 자폐 장애 아동 2명을 대상으로 행동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단일대상연구를 수 행하였다. 또래 대상 아동간의 놀이 중 발생하는 갈등상황에서 대상 아동의 갈등 해결 기술 행동을 자기 조절(역할 수행, 정서 조절)과 호혜성으로 나누어 행동 빈도를 측정한 결과, 상황 이야기와 비디오 피드백 중재를 통해 고기능 자폐 장애 아동의 갈등 해결 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 재 종료 4주 후에도 습득된 기술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 장애 아동의 갈등 해결 기술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intervention of social story and video feedback on conflict-resolving skill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HFA).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HFA) have difficulties in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relationship, because they are lack of conflict-resolving skills in social situation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for these children, we conducted a single subject research using a multiple pr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Two 9-year-old children with HFA, who attend general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to this study. When real conflicts were created in cooperative play situation, the frequency of behaviors was measured in 3 classifications : role performance and emotion control as sub-act of self-control and reciprocity. The results show how social story and video feedback improve conflict-resolving skill of children with HFA. Also acquired conflict-resolving skills are revealed to be maintained even 4 weeks after medi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were discussed deducted in terms of conflict-resolving skill of children with HF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행동
3. 실험 환경 및 실험 도구
4. 연구 설계
5. 연구 절차
6. 자료 처리
Ⅲ. 연구결과
1. 고기능 자폐 장애 아동의 자기 조절 중 정서 조절 행동
2. 고기능 자폐 장애 아동의 자기 조절 중 역할 수행 행동
3. 고기능 자폐 장애 아동의 호혜성 행동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