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수행 정확도 및 능숙도 척도를 이용한 비디오 자기 점검 절차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유아의 부모에 의해 실행되는 개별 시도 훈련법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8
- 영문명
- Effects of Video Self-Monitoring Using Teacher Performance Rate Accuracy Scale on Discrete Trial Training Instruction Delivered by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박혜숙(Hyesuk LeePark) 김현옥(Hyunok Kim) 안효민(Hyomin Ahn) 김다윤(Dayun Kim) 서동수(Dongsoo Suh)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6권 제1호, 107~1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비디오를 이용한 자기 점검 절차가 개별 시도 훈련법을 위한 부모교육 참여자의 교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였다. 조기집중 행동적 중재 프로그램에 등록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가진 세 명의 부모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는 자녀들이 중재를 받고 있는 치료실내에서 부모들이 치료사 역할을 분담하는 자연적 임상 과정에서 실시되었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행동적 기술 훈련(behavioral skill training)이 실시되었고 중재 단계에서는 행동적 기술 훈련과 함께 비디오를 이용한 자기 점검 절차가 이루어 졌다. 이 연구에서는 참여자 간 중다 기초선 설계가 사용되었다. 전 실험 단계에 걸쳐 교사 수행 정확도 및 능숙도 척도(Teacher Performance Rate Accuracy Scale)를 이용하여 개별 시도 훈련법의 정확도와 능숙도를, 그리고 교수수행점검표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교수의 질을 평가하였고, 아울러 아동의 학습을 반영한 주별 준거도달 수가 측정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비디오를 이용한 자기 점검 절차가 행동적 기술 훈련만 적용했을 때보다 교수의 정확도와 능숙도, 교수의 전반적인 질, 그리고 아동의 학습 수행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Effects of video self-monitoring using ‘Teacher Performance Rate Accuracy Scale(TPRA)’ on accuracy and fluency of parent-delivered discrete trial training(DTT)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Early Intensive Behavioral Intervention(EIBI) program of a public children’s hospital in the Seoul city. Thre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receiving the EIBI service participated in the study. A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sed in the study. During the baselines, a behavioral skill training package was implemented in which lecture,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coaching, role-playing, and feedback were provided to the parent during DTT sessions.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parents were required to watch their performance video scoring their own performance with TPRA forms. Percent of trials which were delivered without errors and rate of delivery of correct trials were measured using TPRA, and overall performance during DTT were evaluated using ‘Performance Checklist’ throughout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video self-monitoring using TPRA for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parents’ performance during DTT with their children with ASD. The improved instruction performance of parents were maintained during follow-up sessions.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장소 및 상황
3. 연구 도구
4. 목표행동 및 측정과 자료 분석
5. 연구 설계 및 절차
6. 관찰자간 신뢰도
7. 사회적 타당도
Ⅲ. 연구결과
1. 부모 수행
2. 유아 수행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