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in Patients with Medically Uncontrolled Open-angle Glauco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혜원(Hye Won Park) 한승수(Seung Soo Han) 박종운(Jong Woon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828~83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국문 초록
목적: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에서 선택적레이저섬유주성형술(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의 안압하강 효과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개방각녹내장으로 진단받고 최대한의 약물치료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목표안압에 도달하지 못한 환자 47명 47안을 대상으로 180° SLT 또는 360° SLT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레이저 시술 이후 1년 이상 경과 관찰을 하였다. 치료의 성공은 기존 안압에서 12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20% 이상의 안압하강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SLT 치료 성공률은 65.96%였으며, 시술 전 평균 안압은 성공군에서 23.84 ± 4.52 mmHg였고 실패군에서 21.44 ± 2.97 mmHg로 나타났다(p=0.0347). 성공군의 SLT 시술 후 6, 9, 12개월에 유의한 안압하강 효과가 있었다(6개월[p=0.001], 9개월[p=0.041], 12개월[p<0.001]). 성별(p=0.362), 나이(p=0.081), 백내장 수술 여부(p=0.470), 시술 전 사용한 약물의 개수(p=0.857), 약물을 사용한 기간(p=0.613), 레이저 조사 방법(180° SLT or 360° SLT, p=0.137)에 따른 성공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SLT 성공군은 시술 전 평균 안압과 시술 후 안압하강 정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01, r=0.861), SLT 실패군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272, r=-2.921).
결론: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SLT는 안압하강에 있어 1년 경과 관찰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성공군에서는 시술 전 안압이 높은 경우 시술 후 더 큰 폭의 안압하강을 기대할 수 있겠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828-835>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raocular pressure (IOP) reduction of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on medically uncontrolled open-angle glaucoma (OAG)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result.
Methods: Forty-seven eyes of 47 OAG patients were enrolled for 180° SLT or 360° SLT, all under maximal tolerated medical therapy and with IOP above their target pressure. All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1 year after the procedure. Treatment success was defined as IOP reduction ≥20% from baseline at 12 months after SLT treatment without additional anti-glaucomatous intervention.
Results: The treatment success rate was 65.96%. Baseline IOP was 23.84 ± 4.52 mmHg in the success group and 21.44 ± 2.97 mmHg in the failure group (p = 0.035). Significant mean IOP reduction was observed at 6, 9, and 12 month follow-ups (p = 0.001 at 6 months; 0.041 at 9 months, and <0.001 at 12 months). The success rate did not vary significantly by sex (p = 0.362), age (p = 0.081), history of cataract surgery (p = 0.470), number of medications (p = 0.857), duration of medication (p = 0.613), or angular degree of SLT treatment (180° vs. 360°) (p = 0.137).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an baseline IOP and mean reduction of IOP from baseline in the success group (p < 0.001, r = 0.861), while there was no such correlation in the failure group (p = 0.272, r = -2.921).
Conclusions: SLT w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IOP reduction until 12 months in medically uncontrolled OAG patients. A greater amount of IOP reduction is expected in patients with higher baseline IOP in the success group.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828-835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