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lication of Thermoplastic to the Solidincation of Hazardous Wastes
- 발행기관
-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저자명
- 정준오 정 진
- 간행물 정보
- 『공업기술연구 논문집』제16권 제1호, 719~72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제어계측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2.30

국문 초록
유해 폐기물의 고형화는 폐기물을 고화제와 혼합하여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화시켜 유해물 질을 외부로의 이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최근 유해폐기물의 고형화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고화제로 이용하여 중금속함유 폐기물과 혼합 용융하여 단일체로 고형화하고 그에 따른 밀도, 압축강도등의 물리적 특성시험과 용출시 험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수지의 고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조제시료와 제철분진을 폐기물시료로 하여 고밀도 폴리 에틸렌(H D P E ), 폴리프로필렌(P P ), 폴리스티렌(P S ) 과 혼합비율을 0 ~ 7 0 %로하여 고형화 하였을때 고화체의 겉보기 밀도는 폐기물 시료의 혼합비율이 증가할 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며, 압축강도는 혼합후 시료와 합성수 지의 특성에 따라 폐기물시료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다소 낮아지거나 큰변화를 보이지않.았으며 PS 고화체의 경우 가장 높은 강도를 보여 최고 80M Pa 이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 20M Pa을 훨씬 상회하였다. 입경 5ᅲ皿 이하의 고화체를 대상으로 하는 용출시험은 폐기물 시료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중금속의 용출농도도 대체로 중가하였으나 카드뮴을 제외하고 납, 크롬,구리는 모두 용출기준 농도보다 낮았다. 용출시험을 제작시편을 대상으로 할경우 중금속의 용출농도는 현격히 낮아 질것으로 예상되어 열가소성수지의 고형화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I . 서 론
n . 실험재료 및 방법
m . 결과 및 고찰
i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