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Characteristic o f Smoldering Ground Fire in R ock B ed of Forest Fire
- 발행기관
-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저자명
- 김응식(Eung Sik Kim) 김장환(Jang Hwan Kim)
- 간행물 정보
- 『공업기술연구 논문집』제29권 제1호, 93~9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제어계측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국문 초록
산불은 봄철 기온이 높고 건조한 3~5월경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암반지형의 낙엽은 지난해 가을철에 낙엽이 암반지형에 쌓여 이듬해 봄철 건조한 기후로 인해 산불이 발생 시 암반지 형에서의 산불은 화염이 소염된 후 훈소 형태로 뒷불이 발생하는 잠재위험성이 높은 산불형태로 장시간 후 화염이 다시 발생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암반지형의 뒷불 모의실험은 암반사이에 L(Litter layer)층,F(Fermentation layer)층, H(Humus layer)층 3층으로 구분하여,40cmx40cmx3cm의 암석판을 이용하여 현장과 유사하게 만들었다. 암반과 암반사이 간격을 5, 10, 15cm로 하였고 암반 사이에 토층 1cm, F-H층 10cm,L 층 5cm의 높이로 설치하여 열전대 40(5*8) 개를 수직/수평으로 배치하였다. 암반간격,밀도,함수율 등의 변수에 따른 F-H층 경계면에서의 온도분포, 전파속도, 지속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Agilent사의 DAQ(Data acquisition) 이용하여 최고온도가 100°C까지 데이터를 1분 단위로 측정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침엽수종은 활엽수종에 비해 함수율에 따라 연소 지속시간이 길게 측정되었다. 또한 함수율이 40% 이상이면 화염 전파가 일어나지 않았다.
함수율과 수평 전파속도는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이며,수직 전파속도는 두 수종이 거의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암반간격이 5cm인 두 수종에서의 온도 분포는 L층 연소 후 F층으로 온도 전의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활엽수종이 침엽수종에 비해 밀도 증가 시 수직전파속도가 빠르게 측정되었으며 수평전파속도는 침엽수동이 활엽수종에 비해 빠르게 측정 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1 . 서 론
2 . 실험장치 및 방법
3. 결 과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