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A Small Wind Power Using The Wind Energy Density and Weibull Distribution
- 발행기관
-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저자명
- 조관행(Kwan-Haeng Cho) 윤재옥(Jae-Ock Yoon)
- 간행물 정보
- 『공업기술연구 논문집』제30권 제1호, 87~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제어계측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국문 초록
최근 기후 환경적 문제와 에너지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풍력 에너지와 태양에너지 둥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특히, 소형풍력발전기는 전기를 사용하는 대학 캠퍼스나 주거 단지에 설치하면 송전 비효율 성을 낮추어 주는 장점이 있어 크게 주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대학교에 설치된 AWS(자동기상관측장비) 자료와 서울지역의 10년간 AWS를 분석하여 얻은 와이블 계수를 외국과 비교 분석 하였다. H대학교는 와이블 분포의 C값은 2.27, K값은 0.88이다. H대학교 와이블 분포에 따른 15m에 설치한 소형 풍력 에너지 밀도는 12.7 W/m2이다. 소형 풍력 발전기를 이용해 발전을 했을 경우 연간 전기발생량은 4,514kWh이다.
영문 초록
These days, interest in new renewable energy like wind and solar energy is increasing because of environmental issues of climate and rapid expanding energy consumption.
Especially, by reducing power transmission inefficiency, a small wind turbine generating system is getting attention from universities and residential districts.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and compare wind energy density using meteorological data on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of two areas; a H University and Seoul to other countries. In the case of a H University, a weibull distribution parameter C is 2.27, and K is 0.88. According to the data, the energy density of the small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is 12.7 W/m2. In the results, the small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can produce 4,514kWh annually.
목차
i. 서 론
II. 소형 풍력발전기와 풍력 에너지 밀도
III. 풍향.풍속 실측 및 와이블 분포
IV. 풍력 에너지 밀도 예측 및 연간 발전량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