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anguage of Dance Art and Human Sensitivity in the Communication: Focused on the Zhuangzi’s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영(Park, Sun-Young)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169~1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간사회에 있어 소통으로서의 언어와 무용예술의 몸의 언어와의 관련성을 철학자 장자의 소통의 관점과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인간 생활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 중 대부분은 근본적인 인간과 인간과의 소통의 문제로서 이것을 서로 어떠한 방식으로 받아들이고 이해 하고 해결하는가에 주목하고 있다. 인간의 대표적인 소통방식인 언어는 나라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서로 다른 표현방식으로 인하여 때로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우리는 흔히 무용의 세계를 자신의 내면의 세계를 그대로 옮겨 펼쳐 보이는 것이라 하였다. 하지만 현 시대에서의 몸의 언어를 지향하는 무용은 나의 자아가 곧 타자의 자아이며, 이에 자아와 타자가 하나 됨을 이상으로 여기며 열린 소통의 장을 펼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무용이 꿈꾸는 몸의 언어로서의 소통이며 장자의 철학적 소통의 초월 관계의 성립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장자의 언어 소통의 철학이 무용의 몸의 언어의 소통에 통하는 길이며 이 시대에 필요한 소통의 철학이 되어 줄 것이다. 삶은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살아야 할 ‘신비’라는 말처럼, 무용의 예술의 형태적 형상에서 머물지 않고 모든 언어를 대변할 수 있는 몸의 언어로서 자리매김하도록 열린 소통의 장을 열어야 한다. 말할 수 없는 신비를 보여 주는 몸의 언어는 무용예술이 지향하는 또 다른 열린 소통의 장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s communication and language of body of dance art in human society with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 of philosopher and the firstborn. Most of the recent problems in human life are focused on how to accept, understand, and solve these problems as fundamental human and human communication problems. The languag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ommunication method of human beings, differs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region and sometimes causes misunderstandings due to different expressions. We often say that the world of dance can be seen as it is spreading its own inner world. However, the dance which aims at the language of the body in the present age is spreading the open communication field because my self is the self of the other person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self and the other are one. I think that this is the communication as the language of the body dreamed by d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transcendental relation of philosophical communication of the firstborn. This is how the philosophy of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of the firstborn goes to the communication of the language of the body of dance and it becomes the philosophy of communication necessary for this age. Life should not be a matter to be solved, but a place of communication opened to establish itself as a language of the body that can speak all languages without staying in the form of the art of dance, like “mystery” to live. The language of the body, which shows an unmistakable mystery, is another open communication for dance ar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소통’과 장자 철학에서의 ‘소통’
Ⅳ. 장자 철학에서 ‘소통’과 무용예술의 관계
Ⅴ. 언어의 한계와 인간감성의 소통을 위한 무용예술
Ⅵ.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