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valuation of the Matrix Elements in the Electric Field Integral Equation using Method of Moments
- 발행기관
-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 저자명
- 정백호(Baek Ho Jung)
- 간행물 정보
- 『공업기술연구 논문집』제32권 제2호, 93~9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국문 초록
시간 영역의 적분방정식을 풀기 위한 MOD (Marching - on - in - degree) 방법이 모멘트 법의 갤러킨 방법으로 구현된 바가 있다. 모멘트법의 적용시 공간함수로서 삼각형 표면함수를 사용하면,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 적분방정 식에 의한 행렬 요소는 유사한 적분 형태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삼각형 표면함수를 사용하였을 때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의 행렬 요소 오차를 비교하고, 시간 영역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행렬 요소의 계산시, 두 개의 삼각형 기저함수 간의 거리가 가깝거나 라게르 함수의 차수가 높을 때, 수치적분의 표본점 개수가 많을수록 적분의 정확도는 개선되었다.
영문 초록
In a time domain Marching-on-m-degree (MOD) solver based on a Lralerkin implementation oi the Method of Moments (MoM), it is observed that the matrix elements for the matrix to be inverted contain integrals that are similar to the ones encountered in a frequency domain MoM solver using the piecewise triangular patch basis function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is dichotomy and how to improve upon them when using the triangular patch basis functions for both the time and the frequency domain technique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riangular patches involved in the evaluation of the matrix elements, are close to each other or when the degree of the Laguerre polynomial in a MOD method is high, the integral accuracy will be compromised and the number of sampling points to evaluate the integrals need to be increased.
목차
i. 서 론
II. 행렬 요소의 그린 함수
III. 수치 결과
I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