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irect and Overheard Speech of Primary Caregiver of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이용수 21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지연(Ji yeon Lee) 임동선(Dong 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2, 205~2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 유아기의 아동들은 언어능력수준에 많은 가변성을 보이나 주양육자와 유아 간 성공적인 의사소통 경험이 축적될수록 아동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주양육자가 유아에게 풍부한 언어자극을 제공하는 입력량에 따라 말 늦은 유아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18-36개월의 유아와 주양육자 16쌍, 그리고 이들과 생활연령이 일치하는 일반 유아와 주양육자 16쌍이다. 가정 내 일상생활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에 대한 주양육자의 직접발화 및 간접발화를 분석하기 위해 각 가정에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암밴드를 제공하여 일주일간 일상생활을 녹음하였다. 결과: 말 늦은 유아 주양육자 집단에서 보다 일반 유아 주양육자 집단에서 직접발화 빈도수가 유의하게 높게 산출하였다. 주양육자의 직접발화 6가지 하위유형 중 질문하기, 시도하기, 설명 및 명명하기, 요구하기 유형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말 늦은 유아 주양육자가 일반 유아 주양육자 보다 질문하기, 요구하기 유형에서 유의하게 높게 산출한 반면, 반응하기, 설명 및 명명하기, 시도하기 유형에서는 일반 유아 주양육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주양육자와 유아 간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어떠한 언어적 형태로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지를 확인한 점에서 본 연구는 임상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Mother’s language input is the most meaningful and impactful features for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The more children experience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the child the greater the positive effects on a child’s lingual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of linguistic stimulation input, and the linguistic competencies of late-talking infants. Methods: Thirty-two pairs of mothers an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6 pairs of late-talking (LT) infants (18-36 months) with their mothers and 16 pairs of typically developing (TD) infants of the same age with their mothers. The mothers had a smartphone attached to their armbands that recorded child-direct speech and speech overhead by their children during the course of a week in their daily liv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of TD children’s mot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child-directed speech than the group of LT children’s mothers. Among 6 different subtypes of child-directed speech, LT mothers group showed higher results in ‘questioning,’ ‘demanding’ than the TD mothers group; the LT mothers group showed lower in ‘responding,’ ‘explanation & naming,’ and ‘attempting.’ Conclusion: The experiment provided an evidence that the direct linguistic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s an important factor fo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identifies language types used by mothers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