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Strategies, Optimism in a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eenag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향종(Lee Hyang J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2호, 751~7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실태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중 403명을 성별, 학년별을 고려하여 임의적 방법으로 표집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20.0을 활용하여 기술분석과 단순상관 관계분석, 회귀분석, 조절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는 성별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학년에서는 1학년, 3학년 보다 2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1학년, 3학년 보다 2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학교영역 스트레스와 삶의 의욕 우울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영역 스트레스와 자아상 우울에서, 교사/학교영역 스트레스와 삶의 의욕 우울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를 제시하였고 제한점 및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of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The subjects analyzed were total of 403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our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rough a random sampling, considering gender and grade. Th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20.0 was used for technic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ss level was higher among girls than among boys and higher among second graders than among first and third graders. Depression was higher among second graders than first and third grader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found in the stress level of teacher/school environment and depression of life motiva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was found in family environment stress and self-depression, and among teacher/school environment stress and depression of life motivation. Finally, implication this study is present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i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