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rends of Creativity Research in Sport Pedagogy Utiliz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병권(Chang, Byung-kweon) 채창목(Chae, Chang-Mok) 김영식(Kim, Young-s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2호, 719~74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체육교육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 수집은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창의’, ‘체육’, ‘스포츠’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된 논문(479편)중에서 2000년 이후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고 강신복(2009)이 설정한 체육교육학 연구 주제 범위와 박병기, 강현숙(2007)이 설정한 창의성 연구 주제 범위에 따라 총 113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체육교육학에서 창의성 연구 논문은 2000년 이후 한해 평균 약 6.6편이 발표되었으며 빈도 추이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방법에 따른 빈도는 양적연구, 문헌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빈도는 ‘창의성’, ‘학교스포츠클럽’, ‘창의․인성’, ‘창의적체험 활동’, ‘창의․인성교육’, ‘독창성’, ‘인성’, ‘창의경영학교’, ‘표현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출현빈도가 높은 22개 키워드를 선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창의성~체육’, ‘창의․인성~창의․인성교육~인성~창의적인성’, ‘학교스포 츠클럽~창의적체험활동~창의경영학교~체육교육혁신형’, ‘무용교육~창작무용~ 독창성~유창성’이 각각 클러스터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른 향후 과제로는 첫째, 교육정책 중심에서 현장 연구로, 둘째, 표현활동 중심에서 연구영역의 다변화, 셋째, 결과중심에서 창의적인 과정의 프로그램 개발및 적용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creativity research in Sport Pedagogy
utilizing keyword network analysis. 113 studies related to creativity research in Sport
Pedagogy since 2000 were colle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6.6 studies on creativity research in Sport Pedagogy were published annually. Secondly,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Third, the main keywords were ‘creativity’ followed by ‘school sport club’, ‘creativity and characte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riginality’, ‘character’, ‘creative school management’, ‘expressive activity’.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f 22 high degree centrality keywords; ‘creativity~physical education’, ‘creativity and character~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character~ creative personality’, ‘school sport club~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creative school management~physical education innovation type’, ‘originality~fluency~creative thinking’ a trend emerged showing keywords were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ask to undertake are ‘research of fiel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area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