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OP Manual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소정(So Jeong Lee) 김강민(Kang Min Kim) 조선영(Sunyoung Michelle Cho) 이정수(Jung Soo Lee) 최송식(Song Sik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3 No.5,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의 텍스트를 언어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기법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에 나타난 핵심 개념(키워드)들의 구성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뉴얼에 나타난 하위 및 상위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의 연결망 관계와 핵심 키워드의 연결망 관계의 중심성 분석을 시도하여 그 특성들과 개선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은 SOP700에서 다루고 있는 자연재난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하여 기술되어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의 주요 행위자로 소방기관, 이용자, 관리자라는 키워드가 높은 중심성을 보이며 매뉴얼의 주요한 위치에 등장했다. 셋째, 예방과 대비라는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아 재난 발생 전 단계와 관련한 절차에 강조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은 이용자의 취약한 특성을 포함하여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매뉴얼의 개선점을 발견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n aim of analyzing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Manual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in Korea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attributes of and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in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manuals. Firstly, natural disasters and fire had highest centrality in the manuals. Secondly, the main performers described in the manual were found to be fire station, clients and workers of the welfare facilities. Thirdly, regarding their ascribed duties, prevention and preparedness were at the center of the whole network, which means that the manual focuses on preventing remedies. Overall, the manual is believ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traits of clients and be written from their perspectives. A few discuss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