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Risk Factors,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한상영(Sang Young Han) 최청숙(Cheung Sook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3 No.5, 35~4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기요인,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T시 소재 중학생 96명과 고등학생 104명 총 196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기요인은 남학생이(p<.01), 학년은 중학교 2학년이(p<.001), 학업성취도는 하위권학생(p<.0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위기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력을 주는 것은 청소년의 위기요인 하위영역 중 가정, 학교, 지역사회요인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학교적응을 북돋울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among risk-factor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 city of Gangwon-do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st risk-factors turn out to be male (P<.01), the 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p<.001), and the lowest academic achievement (p<.001). The risk factors of adolesc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were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Th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facilitate school adaptation when adolescents face a crisis situ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