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Geographical Distance, Involvement, Emotion to Earthquake on Risk Percep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찬원(Chan W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3 No.5, 59~7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진에 대한 지리적 측면의 거리감과 관여도, 감정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리적 측면의 거리감은 서울과 경주, 관여도는 저 관여와 고 관여로 구분하였으며, 감정 역시 저 감정과 고 감정(부정적 감정)으로 분류하여 일반 공중의 위험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리적 측면의 거리감에 따른 위험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지진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았고, 관여도의 경우도 지진에 대한 고 관여가 저 관여에 비해 지진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의 경우도 지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지진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관여도와 감정의 위험인식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진에 대한 관여도가 높고 부정적 감정이 높을수록 위험인식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eographical distance, involvement, emotion to earthquake on risk perception among Korean people, Total of 309.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isk perception levels were compared between participants in Seoul and Gyeongju for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high and low involvement groups, and between high and low emotion group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in Gyeongju showed a higher risk perception than those in Seoul. Also, those with high involvement in and high emotion to earthquake had a higher risk perception than those with low involvement and low emotion, respectively. Lastly, involvement in and emotion to earthquake exerted interaction effects on risk perception, highlighting that both high involvement and high emotion had a joint effect on risk percep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