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96
- 영문명
- The Effects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문종훈(Jong Hoon Moon) 원영식(Young Sik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2권 제2호, 391~39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Present study participated in four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All subjects assigned that randomized each seven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ubjects of two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dditionally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supervised under caregivers, during 30 min/day. The outcome measures were the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of subscale for KOMSE(: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 AMR(: Alternating Motion Rate), SMR(: Sequential Motion Rate). In results,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in all assessments(p<.05). In comparison of chang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control group in oral cavity function, /pə/ and /tə/ of AMR(p<.05). We suggested that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the improvements of oral cavity and articulator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