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ants of Default of Chonsei Loa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오주한(Oh, Joo Han) 최열(Choi, Yeol)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9輯, 204~21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세자금대출 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거시경제변수의 시계열 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 3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전세자금대출보
증 공급건 중 사고발생한 건을 기초로 하였고, 독립변수는 선행연구에서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결정요인들 중 본 연구의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세자금대출 사고발생의 종속변수에 양(+)의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는 주택전세가격지수, 실업률, 부도율로 나타났다.
주택전세가격이 전월 대비하여 증가하는 경우는 전세자금대출 사고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업률과 부도율
이 증가할 경우 가구별 가처분 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사고발생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now key determinants of default of chonsei loan.
(2) RESEARCH METHOD
Dependent variables are 8 macroeconomic variations such as leading composite index, housing price index, chonsei price index, index of industrial product, consumer price index, unemployment rate, and insolvence ratio. A period of data is between March 2004 and December 2015. The determinants are analyzed by VECM. A period
of data is between March 2004 and December 2015.
(3) RESEARCH FINDINGS
Before this empirical study, chonsei price index, interest, unemployment rate, and insolvence ratio were estimate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ce on default of chonsei loan. However, the results of analysis are that default of chonsei loan is affected by three determinants, like chonsei price index, unemployment rate, and insolvence ratio.
2. RESULTS
This study finds that the indexes related to a disposable income of household affect default of chonsei loan. However, the interest which seemed to be important is not significant. It is estimated becase the loan amount of chonsei is not high, compared to that of mortgage and the interest is decreased between March 2004 and December
2015.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Ⅱ. 이론적 고찰
1. 주거 관련 가계대출에 대한 연구
2.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결정요인 및 전세
자금대출 사고발생 관련 연구
Ⅲ. 분석모형의 설정
1. 변수의 정의
2. 분석모형의 설정
Ⅳ. 거시경제변수와 전세자금대출 사고발생
에 대한 실증 분석
1. 거시경제변수의 안정성 검증
2. 불안정한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한 회귀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