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idential Mobility According to Tenant Household Age Using Panel Logit Model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성주한(Sung, Joo Han) 김형근(Kim, Hyung Keu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9輯, 175~1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주의 연령에 따라 임차가구의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가구주
의 연령에 따라 인구․사회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주거이동에 있어 다른 선택을 보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령별 임차인의 주거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패널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패널로짓모형을 이용
하여 가구주 연령별 임차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년의 경우에는 주거이동에 지역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이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고, 중년과 장년의 경우에는
인구․사회적 특성,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의 모든 특성이 중요하며, 노년의 경우에는 지역적 특성은 강하지만 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모든 연령대에 지역적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이 주거이동에
매우 중요하게 나타난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연령이 들어감에 따라 약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sidential mobility according to the head of household age. Because of the different social, region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head of household a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2) RESEARCH METHOD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Mobility was analyed by using penal logit model.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set in 3 groups. Population・society characteristic, regional characterist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
(3) RESEARCH FINDINGS
In the case of young peopl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for residential mobility. In the case of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al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social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In the case of old ag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strong, but economic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weak influence on the residential mobility. It can be judged that the regional aspect and the economic aspect are very important for the residential mobility in all ages, but it is getting weaker with age.
2.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 were to influence the choice of residential Mobility. Also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in accordance with another head of household age.
목차
Ⅰ. 서론
Ⅱ. 주거이동의 이론적 근거 및 선행연구
1. 주거이동의 이론적 근거
2. 선행연구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1. 연구가설
2. 연구모형
Ⅳ. 실증연구
1. 분석자료
2. 변수의 구성
3. 기술통계량
4. 패널로짓모형(Panel Logit Model)
5.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1. 연구결과 요약
2.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