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iculum Development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Core-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효신(Lee, Hyosh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0호, 289~3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등 신규임용교사가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을 도출한후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인 신규임용교사 연수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면담, 설문조사, 서면면담등 다면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바탕 으로 6명의 전문가와의 면담을 거쳐 설문지를 작성한 후 14명의 중등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574명의 중등 신규임용교사를 대상으로 핵심 역량 관련 연수이수 여부와 만족도,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직무연수의 장․단점, 연수 이수 효과, 연수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기 위해 10명의 중등 신규임용교사를 대상으로 서면면담도 실시하였다. 중등 신규임용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조사해 본 결과 6개 활동영역의 18개 주요 업무에서 19개의 핵심역량이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관련 연수 이수여부에 대한 인식과 연수 만족도를 조사하 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연수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임용 전 연수는 신규임용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수업 중심의 연수에 중점을 두고, 현장배치 후에는 생활지도와 업무처리 관련 연수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반영하여 임용 전․후 연수교육과정(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연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연수 시기, 교과목의 구성, 연수방식, 수업운영, 강사유형을 고려한 교과목별 운영 모델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ore competences of beginning teachers for secondary schools,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 relevant training programs, and develop the direction of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m.
To do this, a literature review, experts interviews, a closed questionnaire, and written interviews were employed. In order to derive core competencies,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the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six experts in secondary education. Next,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574 new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identify their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of taking core competencies-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ceived level of core-competencies. In addition, a written interview was conducted on 10 beginning teacher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improvements of beginner teacher training.
Nineteen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from 18 teachers major tasks in the six activity areas. Based on this,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completion of related training and the satisfaction of training were also examin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training course was sugges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pre-employment training focus on teaching-oriented training, which is recognized as important by beginning teachers, and the post-employment training focus on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administration-oriented training. Also, it is proposed to present the operation model for each subject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raining period, syllabus, training method, class operation, and instructor types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