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for the Effect and Consulting Satisfac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소입흠(Su Li Xin) 이정화(Lee JeongHwa) 정진섭(Jung JinSup)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2卷 第2號, 163~19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국문 초록
최근 우리사회는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스펙초월 채용 및 능력중심 인사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업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도입한 후 직무기술 향상, 기업채용, 기업훈련, 직무만족도 등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NCS를 기반으로 컨설팅을 수행한 경우, 그 만족도를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관련된 중요 요인인 직무표 준화는 직무기술 향상, 채용 및 훈련, 직무만족도 향상(또는 이직률 감소)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또 하나의 중요 요인인 직무세분화는 직무기술 향상, 채용 및 훈련에는 정(+)의 효과를 나타냈으나, 직무만족도 향상(또는 이직률 감소)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NCS 관련 컨설팅의 수행결과를, 균형성과표(BSC)를 모델로 하여 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항목의 경우, ‘학습 및 NCS 매칭’이 제일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재무조직 강화’, ‘전반적 NCS 컨설팅 프로세스’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분석되었고, ‘고객만족’이 가 장 낮게 나타났다. 하위 계층의 중요도의 경우, ‘직무분석과 NCS 매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직무와 경력개발경로 매칭, 학습교육, 전반적 만족도, 매출액 또는 손익 증가, 기술 역량 향상, 신뢰성, 전반적 계획성, 적합성, 고용창출 및 이직률 감소, NCS 확산 추천의지, 성실성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Our society recentl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mployment beyond license, and management seeks society that is placed in the right place according to individual competency. Therefore, the need to build a syste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is spreading not only in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throughout private companies. In this study, we tried to measure the effects of job skill improvement, corporate recruitment & training, and job satisfaction after introduc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lso, we actually tried to measur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consulting based on NCS. By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es targeting SMEs, job standardization related to the NCS generally had positive influences on improvement of job skill, corporate recruitment & training, job satisfaction (or reduction of turnover rate). Meanwhile, job segmentation had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skill, the corporate recruitment & training. However, it had no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r reduction of turnover rat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at ‘learning and NCS matching’ was the most eminent variables with regard to the NCS related consulting, and then ‘the reinforcement of financial organization’ was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NCS consulting proc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is the lowest one.
목차
요약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부 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