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삼제품 수출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이용수 216

영문명
Marketing Strategy through Analyzing Barriers to Exports of Korean Ginseng Products : As a Center of Exports of Geumsan area’s Ginseng Products to Central China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채병권(Che Pung kwon) 한상연(Han Sang yun)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5권 제2호, 135~14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인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특산품으로 삼국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와 통상을 하는 여러 국가에 중요한 수출대상 품목이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국인 중국의 제조업체가 만든 한국인삼 위조품의 범람, 수출 대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북미의 높은 생산성과 체계적인 마케팅 등으로 경쟁력을 잃어 수출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대 내·외적으로 위기상황에 처한 한국인삼제품의 수출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한국인삼제품 수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화권 인삼시장 중심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문헌을 통해 발굴된 20개의 요인을 설문조사하여 한국인삼제품의 수출장애요인인 6개의 특성별 요인을 도출했다. 1. 수출제도요인, 2. 시장경쟁요인, 3. 제품개발요인, 4. 상품특성요인, 5. 가격 및 금융애로요인, 6. 본국정책요인의 순으로 중요성이 분석되었고, 일반제품의 수출장애요인과 차별적인 요소로는 수출제도요인과 본국정책요인이 나타났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인삼인삼제품의 대중화권 수출활성화를 위해서는 중국관련 수출제도 및 복잡한 절차의 해소를 위한 노력과 한국인삼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브랜드화, 다양한 제품개발, 유통네트워크 확보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Korean Ginseng is a representative product of Korea. Since the era of Three Kingdom till now, Ginseng has been an important item for Korea exports to countries that have traded. However, recently it has been difficult to expand exports because it has lost its competitiveness due to the flooding of counterfeit in Korean ginseng products which made by competitors in the global market, tariffs and non-tariff barriers of export targeted countries, and high productivity and systematicmarketing inNorthAmer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solution to our crisis and to establish export promotion strategies centering on the Chinesemarket, which accounts for most of Korean ginseng products export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17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 17 significant variables were grouped into 6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HP questionnaire surveys of 12 Korean ginseng distribution specialists were “what are the factors that impede the export of Korean ginseng in Korea”.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1. Exports system factor, 2. Market competition factor, 3. Product development factor, 4. Product characteristics, 5. Price and financial difficulties, and 6. Country policy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actively export the Korean ginseng products in the Chinese territory, exporting Company need to endeavor and solve the complicated procedure system, branding needs to done by establishing the Korea’s Ginseng identity in Korea, and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product tha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itsmarket but could differentiate fromthe other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한국인삼제품의 수출환경
Ⅲ. 문헌연구
Ⅳ. 실증분석
Ⅴ. 마케팅 전략 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병권(Che Pung kwon),한상연(Han Sang yun). (2017).한국인삼제품 수출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상품학연구, 35 (2), 135-147

MLA

채병권(Che Pung kwon),한상연(Han Sang yun). "한국인삼제품 수출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상품학연구, 35.2(2017): 135-14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