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Environment-related indices in Korea : Focusing on KRX SRI Eco and KRX Green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홍수희(Hong, Su-hee)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6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33~2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국문 초록
우리나라 자본시장에서 환경관련지수인 KRX SRI Eco지수와 KRX Green 지수의 재무성과를 시장의 평균성과라고 할 수 있는 KOSPI 200 지수와 비교해보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세 가지 지수의 성과측정지표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따라서, 환경관련지수의 성과가 시장의 평균적인 성과에 비하여 높다는 본 연구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환경관련지수중 KRX SRI Eco 지수는 2011년부터 2014년인 연구전체기간동안은 시장의 평균성과인 KOSPI 200 지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시장의 평균성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관련지수중 KRX Green 지수의 재무성과는 시장의 평균적인 재무성과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기각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기업의 환경관련책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증가하게 되는 상황이긴 하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기업들이 아직까지는 투자자들 로부터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지는 못하고 있음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CSR의 중요 성을 상기해볼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기업들은 분명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 및 기업의 가치를 높이게 될 것이고, 지금 초창기임을 고려할 때, 앞으로의 성과는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KRX SRI Eco and KRX Green, the environment-related indices in Korea, with that of the KOSPI 200, the market index.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inancial performances of the three indices. This finding has induced the author to dismiss the hypothesis proposing that the environment-related indices have financial performance higher than the market average. Second, among the environment-related indices, the KRX SRI Eco had performance higher than the market-average KOSPI 200 for the study term 2011 to 2014. Meanwhile, in each year, they showed performances similar to the market average. Third, among the environment-related indices, the KRX Green showed financial performances remarkably lower than the market average. This finding was detrimental so that the author had to give up the hypothesis. This result may reflect the reality in Korea that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the corporate responsibility in environmental affairs, those environment-conscious companies are not actually drawing positive evaluation from the investors. Nevertheless, in light of the signific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hose companies embracing CSR are expected to upgrade their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company value in a long term. As much as CSR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only recently, its relationship with the corporate performance may have a turning point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