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for Coastal Area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종석(Lee Jong Seok) 명수정(Myeong Soojeong) 최현일(Choi Hyun I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2호, 397~40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지역에 대한 홍수취약성 평가기법을 개발하여, 홍수위험 관리 및 저감 대책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별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역중요성 지수(RSI) 및 홍수에 의한 피해가능성을 나타내는 피해가능성 지수(DPI)로부터 산정되는 연안홍수취약성 지수(CFVI)를 제시하였다. 지역중요성 지수(RSI)는 4개의 대리지표로 산정되며, 인구밀도와 취약인구비율로 구성된 인적요소와 자산밀도와 주요시설물비율로 구성되는 물적요소로 분류된다. 또한 6개의 대리지표가 피해가능성 지수(DPI)의 산정을 위해 구축되었으며, 일최대강수량과 태풍강우강도가 기상요소로, 극고조위 및 유역경사가 지형요소로, 그리고 재산피해와 침수면적이 재해요소로 각각 구성되었다. 선별된 10개의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는 각기 다른 범위와 단위로 측정되기 때문에, 전국 74개 연안 시군구에 대한 홍수취약성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점수로 변환되었다. 연안홍수취약성 지수(CFVI)는 지자체의 통합 홍수위험 관리정책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of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coastal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r, which can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for the flood risk management and damage reduction plans. This study therefore proposed CFVI (Coastal Flood Vulnerability Index) from RSI (Regional Significance Index) for regional importance of districts and DPI (Damage Possibility Index) for damage possibility by flooding. RSI is estimated by four representative factors, which are population density and vulnerable population ratio as for human factor, and property density and main facilities ratio as for physical factor. Six representative factors were also constructed for DPI: daily maximum rainfall and typhoon rainfall intensity for weather factor, extreme sea level and basin slope for geography factor, and property damages and inundation areas for damage factor. The selected ten flood vulnerability factors measured at different scales and units were transformed into standardized scores to evaluate the coastal flood vulnerability for the 74 administrative districts in coastal areas nationwide. This proposed CVFI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cision-making of local governments on the integrated flood risk management strategie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홍수취약성 평가지표 선정 및 구축
3. 연안지역 홍수취약성 분석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