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음파영상에서의 임신초기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이용한 임신성당뇨 위험인자 평가

이용수 127

영문명
Evaluation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isk Factors Using Abdominal Subcutaneous F at T h ickness for Early P regnancy i n th e US Imaging
발행기관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저자명
김창수(Changsoo Kim) 양성희(SungHee Yang) 김정훈(JungHoon Kim)
간행물 정보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1호, 35~40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임신초기 초음파에 의해 측정된 임산부의 복부 피하지방두께(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SFT)와 임신중기 발현되는 임신성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86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초기 ASFT를 측정한 후 임신중기 GDM 선별검사(50 g OGTT) 140 mg/dL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산정하고 산모연령,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량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이용하여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cut-off value를 결정하였다. 산모연령, 임신 중 체중증가량은 임신중기 GDM과 관련성이 없었으며,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초기 ASFT는 정상군과 GDM 고위험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cut-off value는 2.23 cm(AUC 0.913, Sensitivity 76.19%, Specificity 93.72%)로 결정하였다. 임신초기 초음파로 측정된 ASFT는 임신중기 GDM 예측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유용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ASFT는 GDM을 조기에 인식하는데 있어서 보조적인 진단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SFT) and maternal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GDM) measured by ultrasound at period of pregnancy. We compared maternal ag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in 286 pregnant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early pregnancy ASFT and high GDM screening test(50 g OGTT) of more than 140 mg/dL. ROC curv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ut-off value of ASFT for GDM prediction. Maternal age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were not related to GDM in the mid-trimester and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earely pregnancy ASF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rmal and GDM high risk groups. The cut-off value of ASFT for GDM prediction was 2.23 cm(AUC 0.913. Sensitivity 76.19%, Specificity 93.72%). ASFT measured by ultrasound in early pregnancy was useful as an important index for predicting mid-trimester GDM prediction. Therefore, ASF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diagnostic index for early recognition of GDM.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수(Changsoo Kim),양성희(SungHee Yang),김정훈(JungHoon Kim). (2017).초음파영상에서의 임신초기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이용한 임신성당뇨 위험인자 평가. 방사선기술과학, 40 (1), 35-40

MLA

김창수(Changsoo Kim),양성희(SungHee Yang),김정훈(JungHoon Kim). "초음파영상에서의 임신초기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이용한 임신성당뇨 위험인자 평가." 방사선기술과학, 40.1(2017): 35-4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