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Factors of Adolescents: A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Career Decision Level by Utiliz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기정(Lee, Gee Jeong) 강충열(Kang, Choong Yo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6호, 61~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만족도, 물리적 학교환경 만족도, 시험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및 진로교육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둘째,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성별 집단에 다른 유의미한 경로의 차이를 찾아보는 것이다. 셋째,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변인 간 유의미한 경로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대상은 2007(제4차)년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의 조사 자료 중에서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1393명(남학생, 769명, 여학생 62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교사 만족도, 시험 스트레스, 물리적 학교환경 만족도, 자기 효능감 및 진로교육 만족도의 모든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로임을 보여 주었다. 둘째, 성별 다중집단의 조절효과 분석결과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진로교육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부분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 다중집단의 조절효과분석결과에서는 교사 만족도가 진로교육만족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결과를 보여 부분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논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h relation among teacher satisfaction, test stress, physic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self efficacy,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girls group and boys
group by using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Thir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career decision group and career indecision group by using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2007(KEEP, 2007) data were utilize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1,393 third graders of general high school in South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MGSE)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Several results were abstracted. First, all paths have an significant effect among teacher satisfaction, test stress, physic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self efficacy,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in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path has significant effect in girls group and boys group. Gender group only moderated between self efficacy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the difference of the path has significant effect in
career decision group and career indecision group. Career decision level group only moderated between teacher satisfaction and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