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Which Content Development Has on Functional Learning of Breaststroke Swimming and Memory Capacity of Information of Elementary School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은창(Kwak, EunChang) 주병하(Joo, ByungHa) 권동구(Kwon, DongG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6호, 579~5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내용발달이 초등학생의 평영 기능 학습과정보기억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A도시 스포츠 센터에 등록한 70명의 초등학생들이다. 연구 기간은 2015년 9월부터 12월까지이며, 실험 처치는
1주일에 두 번씩 4주 동안 총 8회 수업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집단별 행동 분석을 위해 Kruskal Wallis Nonparametric test와 성별 비교를 위해 Mann Whitney test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수영 기능학습은 내용발달 집단이 전통집단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둘째, 정보기억량은 내용발달집단이 전통집단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평영 기능 학습에서 내용발달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이 운동 기능 및 정보기억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되었다. 따라서
체육수업에서 내용발달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ressive and systematic content develop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east function learning and information mem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in the A City Sports Center.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eight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wice a week. Kruskal Wallis Nonparametric test was used for group behavior analysis and Mann Whitney test was used for gender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wimming skill learning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content
development group than traditional group. Second, the information memory showed higher improvement than the traditional group. In conclusion, it has been proven that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content development can improve exercise function and information memory in breast function learning. Therefore, active use of content
development is requir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