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Kwang Ho Chu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3 No.2, 89~1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국문 초록
구소련의 해체로 인한 20여 년이 넘은 독립 이후 중앙아시아는 새로운 거대 게임 이론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의 자원분쟁이라는 틀에 갇힌 상황에서 중앙아시아는 점증하는 삼각구도의 틀 속으로 재편되고 있다. 미국 외교정책의 이 지역에 대한 재조명 역시 분쟁의 성격들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가고 있다. 본 논문은 중앙아시아의 지역적 특성과 9/11 이후 변화하는 미국의 외교정책, 특히 미군 전투병력의 아프가니스탄 철수로부터 야기된 중앙아시아 분쟁의 고립된 분쟁의 특성을 분석하려 한다. 본 논문은 분쟁을 관리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 그리고 매우 불안정한 상호 간, 다자 간 이해관계들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해 볼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근본적으로 중앙아시아 지역의 3강, 즉 미국, 러시아, 중국이 각기 상이한 지역에의 이익들 때문에 상호 간 협력체제가 부족하고 때로는 더 큰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도 상존함을 분석할 것이다.
영문 초록
More than twenty years after independence due t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Central Asian countries remain their focus on a New Great Game . From an initial narrative that surrounded the battle for energy between China and Russia, the power balance in the region is translating to a trilateral structure. The re-focus of US foreign policy to the region has fundamentally changed the nature of conflict in this area. This paper seeks to make a full assessment of the key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onflict in Central Asia and the post-9/11 US foreign policy in this region, particularly since the withdrawal of US combat forces from Afghanistan. It concludes by emphasizing several areas for opportunity in maintaining and resolving conflicts and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nvergent interests. The paper also highlights that the three major powers in the region, US, Russia and China, lack trilateral cooperation efforts which could result in divergent local interests and elevated degree of conflagration.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Analytical Framework: Central Asia as a Region of Conflict
Ⅲ.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Ⅳ. The USA - Central Asian Foreign Policy Re-focus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