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ouseholds’ House Purchasing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지현(Kim, Ji Hyu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8輯, 107~11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구들이 주택구입을 결정할 때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택구입에는 소비수요와 투자수요가 혼재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주거점유선택 결정에 주요 변수로 알려진 가구의 생애주기와 시장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지역 등의 변수를 포함한 모형을 수립하여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주택구입에 영향을 주는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교육수준과 가구원수, 주택관련 변수로는 기타주택의 소유여부, 점유형태, 지역 등이 선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많은 가구에서 주택구입은 거주목적 뿐만 아니라 투자목적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have had impacts on households’ house purchasing in Korea.
(2) RESEARCH METHOD
The data for this analysis were collect from the KHRIS’s questionnaire. Since house purchasing (buying=1, no buying=0) is considered as a binary variable, I have applied a binary logistics analysis.
(3)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education and number of households) and housing variables(other house ownership, tenure type, and region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households’ house purchase.
2. RESULTS
This study offers two important implications in Korean housing market. First, households take into consideration not only consumption factors but also investment factors when they have a plan to buy a house. Second, There exists regional differences when households consider to buy a house,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investment demand.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가설과 분석모형
1. 연구가설
2. 분석자료
3. 변수와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결과
1. 기술통계
2. 분석결과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와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