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ident s crisis communication message analysis - Focused on the 1st ~ 3rd -
- 발행기관
-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 저자명
- 백진숙(Jin sook Paek) 김진욱(Jin wook Kim)
- 간행물 정보
- 『지역복지정책』제27집, 5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박근혜대통령은 담화문을 통해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였는지, 매체를 통해 공중에게 전달될 때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였다.
첫째, 1차, 2차는 효과적인 사과메시지 전략을 구사했다고 보기 어렵다. 1차 담화문은 사과와 위기의 책임성이 낮은 변명과 정당화를 동일하게 제시하여 메시지 불일치를 보인다. 2차 담화문도 위기의 책임성이 높은 시정조치를 가장 많이 쓰고 책임성이 낮은 변명도 동일한 수량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만 3차에 이르러 사과문 형식에 가장 부합했다. 또한 문장 하나에 정당화+사과, 부정+사과 메시지도 제시하여 메시지의 성격을 희석시키는 결과도 나타나고 있다. 둘째, 매체들이 메시지를 분산시키지 않고 위기의 책임성이 낮은 방어 메시지를 중점적으로 인용 보도하고, 메시지 일치성을 높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how the President delivered the message through the discourse and how it differs from the media when it is transmitted to the public. First, it is hard to say that the first and second have used an effective apology message strategy. The first discourse shows apology and message disagreement by presenting the apology and justification with low responsibilities of apology and crisis. The second talk also presents the same amount of excuses with the most responsibilities of the crisis and the least responsibilities. However, it reached the third and was most suitable for apology form. There is also a result of diluting the nature of the message by presenting a justification + apology, an denial + apology message in one sentence. Second, media do not disperse the messages but focus on defense messages with low responsibility for crisis, and increase message consistenc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