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Utilitarian and Hedonic Factors on Online Review Adoption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류성열(Ryoo Sung Yul) 박상철(Park Sang Cheol) 구철모(Koo Chul Mo)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27권 제1호, 151~16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의 유희적 특성과 실용적 특성이 고객들의 온라인 리뷰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
히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온라인 리뷰의 유희적 특성요인으로 시스템 매력도, 리뷰 선명성, 출처 매력도를 선정하였고, 실용적 특성요인으로 리뷰 품질, 리뷰 적합성, 출처 신뢰성을 선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리뷰의 유희적 그리고 실용적 특성요인들이 온라인 리뷰 유희성과 유용성을 매개하여 궁극적으로 온라인 리뷰 수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려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60개의 표본에 대한 PLS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모형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온라인 리뷰의 유희성과 유용성은 소비자의 온라인 리뷰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리뷰의 유희적 요인 중 시스템 매력도와 출처 매력도는 온라인리뷰의 유희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만, 리뷰 선명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리뷰의 실용적 요인 중 리뷰 적합성과 출처 신뢰성은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만, 리뷰 품질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를 유희적 특성과 실용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리뷰의 수용에 대한 연구에 보다 명확한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Research in IS has paid limited attention to the hedonic value of online review until recently.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utilitarian and hedonic factors simultaneously on consumers’ intentions to adopt online review. This study posits system attractiveness, review vividness, source attractiveness as key determinants of hedonic factors. Also this study expects review quality, review compatibility, and source credibility as prominent determinants of utilitarian factors. The data us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using partial least squares(PLS) method were 160 samples. The findings have suggested that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factor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customers’ online review adoption. The results show that both system attractiveness and source attractivenes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utilitarian value. Also the results show that both review compatibility and source credibilit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hedonic value. In sum, the results support most of research hypotheses except both the path from review vividness to review enjoyability and the path from review quality to review usefulnes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모형과 가설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