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Palpebral Fissure Height and Corneal Astigmatism of Epiblephar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진수(Jinsoo Kim) 윤효성(Hyo Sung Yoon) 이주연(Joo Ye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2, 192~196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국문 초록
목적: 덧눈꺼풀 환아에서 환아의 난시의 정도와 눈꺼풀 틈새의 수직길이를 조사하고, 그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외래를 방문한 총 34명 68안의 덧눈꺼풀군과 같은 기간 외래를 방문한 덧눈꺼풀이 없는 환아 총 44명 88안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두 군 간에 눈꺼풀 틈새의 수직길이와 난시를 비교하였다. 또한 덧눈꺼풀 군에서는 수술 전 각막미란의 정도를 분류하여 난시와 연관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결과: 덧눈꺼풀군의 나이는 5.6 ± 2.2세, 대조군의 나이는 6.1 ± 1.5세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39). 덧눈꺼풀군의 난시는 2.28 ± 1.54 diopter (D), 대조군은 0.91 ± 1.07D로 덧눈꺼풀군에서 더 심하였다(p<0.001). 덧눈꺼풀군의 눈꺼풀 틈새의 수직길이는 6.70 ± 1.19 mm, 대조군은 7.63 ± 1.06 mm로 덧눈꺼풀군에서 더 작았다(p<0.001). 또한 덧눈꺼풀군에서 눈꺼풀 틈새의 수직길이가 7 mm보다 작은 경우에 그 이상인 경우보다 난시가 컸고(p=0.026), 난시값이 클수록 눈꺼풀 틈새의 수직길이가 작았다(p=0.022).
결론: 덧눈꺼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각막난시의 양이 컸고, 이는 낮은 눈꺼풀 틈새의 수직길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To study the effect of plapebral fissure height on astigmatism in epiblepharon patients.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68 eyes of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epiblepharon and 88 eyes of 44 patients who had normal eyelids from September 2012 to July 2013. Data on palpebral fissure height and refractive errors were compared between the epiblephar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piblepharon pati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groups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operative corneal erosion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corneal erosion on corneal astigmatism.
Results: The mean age was 5.6 ± 2.2 years in the epiblepharon group and 6.1 ± 1.5 years in the control group (p = 0.339). The mean astigmatism was 2.28 ± 1.54 D in the epiblepharon group and 0.91 ± 1.07 D in the control group. The epiblepharon group showed higher astigmatism than the control group (p < 0.001). The mean palepebral fissure height was 6.70 ± 1.19 mm in the epiblepharon group and 7.63 ± 1.06 mm in the control group. The epiblepharon group exhibited smaller palpebral fissure height than the control group (p < 0.001). In the palpebral fissure height subgroups of the epiblepharon group, the <7.0 mm group showed higher astigmatism than the ≥7.0 mm group (p = 0.026). Higher astigmatism was associated with smaller palpebral fissure height (p = 0.022).
Conclusions: Patients with epiblepharon had significantly higher corneal astigmatism, and higher astigmatism was associated with smaller palpebral fissure height.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