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 발행기관
-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 저자명
- 장성철(Sung Chul Chang) 정승언(Seung Eon Jeong)
- 간행물 정보
- 『창조와 혁신』제9권 제4호, 107~14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기업은 리더와 구성원들의 협업을 통하여 생존과 발전을 이루어 나간다. 기업은 무한경쟁이라는 패러다임 하에서 성과와 결과를 위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였고, 이로 인한 결과로 세계 경제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20세기 말에 들
어서면서 기업의 비도덕적 행위로 인한 사회경제적 문제가 대두되었고, 특히 이를 주도하고 있는 리더십이 리더의 개인적 요구를 채우는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인식이 강해지게 되었다. 이에 과거의 리더십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의 대안으로서 윤
리경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같은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시도되었다.
진성 리더십은 기존의 리더십이 갖고 있는 한계점이 무엇인가를 연구하면서 리더 자신과 구성원들 간에 진정성 있는 관계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써, 추종자의 태도와 행동과 관련되어 있다. 진성 리더십과 작업장에서의 심리적
웰빙에 대한 연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성 리더십의 작동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서는 문화적 가치, 리더와 추종자의 경험 수준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의 매개역할을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직무 만족을 매개요인으로 검토함으로써 진성 리더십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을 정교화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기존 이론을 고찰하여 이론적인 틀을 구축하고, IT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인 분석을
진행한다.
영문 초록
The company will survive and develop through collaboration of leaders and members. Under the paradigm of infinite competition, companies have taken all the ways for performance and results, and the global economy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However,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socio-economic problems emerged due to the immoral behavior of corporations, thus the awareness that leader s leadership has fallen into means to meet their own personal needs became stronger. So, various researches and discussions such as ethical manage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ve been tri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ast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is related to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followers as an attempt to solve problems based on authentic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and followers while study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eadership.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workplace continues to increase, but in order to reveal the mechanism of authentic leadership, the mediating role of various variables such as cultural value, level
of experience of leader and follower should b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the process of th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well-being by examining job satisf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To do this, we construct a theoretical framework by
examining existing theories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rough surveys of IT company employe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