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from Low cost UAV based Imagery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오이균(Oh Yi K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2권 제3호, 75~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현재 지적조사에 있어 토탈스테이션 이나 위성측량시스템(GNSS)의 도입으로 측량의 정확도 향상은 이루었으나, 토지소유자 들에게 측량결과의 동의를 구할 경우, 기존의 지적측량방법들은 전문성이 없는 토지소유자 들에게 이해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급형 드론을 이용하여 정확도가 확보된 정사영상을 취득한 후, 지상기준점 및 경계점과 비교하여 지적조사에 활용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영상과 지상기준점 오차, 영상에서 취득한 경계점과 지적도와의 오차가 각각 ±0.12m, ±0.18m RMSE로 도해지역 지적측량 허용오차 기준 이내로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정확한 영상 지적도로 필지 형상을 오인한 소유주들의 민원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도해지역에서의 표준화된 기지점 확인으로 현장업무량을 줄일 수 있고, 법규상 드론영상자료 이용규정이 뒷받침될 경우 지적확정측량을 비롯한 지적재조사사업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Since the introduction of Total Station(T/S)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 in the cadastral surveying the accuracy dramatically has been improved. However it is still a big challenge for surveyors to explain and ask agreements to the clients. Because most of clients are do not have prior knowledge on cadastral surveying. Thus in this resear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UAV) applied for capturing accurate orthophoto images and utilize them when comparing the field sit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rror between orthophoto image and ground control points was ±0.12m and the error between boundary points from the orthophoto image and cadastral map was ±0.18m RMSE. That error is within the error tolerance in the graphical surveying area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for reducing land disputes and amount of field work, improving work process for cadastral resurvey and cadastral readjustment surveying by applying UAV in cadastral surveying.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지적측량과 드론(Drone)
3. 연구방법
4. 비교 분석 및 활용성 평가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