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and Self-regulation Competence of Pre-teacher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주영(Jung Ju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4호, 215~2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7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및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2016학년도 1학기, 교육방법및교육공학 교과목 수강자인 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자기주도학습 및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CHANGE 플립러닝 모형을 적용하여 한 학기 수업을 진행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습욕구, 학습목표, 학습을 위한 자원 파악, 학습 전략의 선택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평균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학습 실행의지 속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평균값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플립러닝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일상에서의 공부방법, 학교에서의 공부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평균이 상승하는 차이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class 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o accomplish this goal, 93 D university students registering for educational method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at the first semester of 2016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 pretes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conducted. The CHANGE flipped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one semester, a post test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test was carried out using SPSS windows 21.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as the paired sample t-test result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lip learning class on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was proved that the average of the desire to learning, learning goals, figuring out resources for learning, the choice of learning strategies and etc. had increased with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Yet, the average of the quality of the will to practice learning was found out to decrease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range. Second, when the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flip learning affected the university students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average of study methods and that of the study methods at school increased at different degree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rang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