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patial and Social Equity of Fire Service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달별(Lee, Dalby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1호, 145~1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소방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은 사회적 불균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서울시의 소방서비스의 공간적⋅사회적 형평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집계구 및 실제 가로⋅시간별 통행속도를 바탕으로 GIS의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5분 내 소방서비스 접근 가능 지역을 파악하고, 화재위험도와 소방서비스를 기반으로 지역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는 소방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으로 인해 최대 전체인구의 20.2%가 소방서비스 접근이 취약하며, 화재위험도가 높으면서 소방서비스가 열악한 지역에 3.4%의 인구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서비스에 따른 지역의 평균적 사회적 특성엔큰 차이가 없으나 소방서비스가 미흡한 지역 중 사회적으로 취약한 인구가 다수 거주하는 지역이 존재한다. 서울시는 소방서비스의 공간적 불균등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소방서비스 적정시간 내 미도달지역의 화재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spatial and social equity of fire service in Seoul, hypothesizing spatial inequity is related with social inequity. Using GIS network analysis with data of census block groups and real vehicle traffic speed according to time and roads, it identifies accessible areas within 5 minutes from fire station, classifies areas according to fire risks and fire service and compares social characteristics among classified areas. The results show (1) 20.2% of total population in Seoul are not offered with operate fire service because of spacial inequity of the service, (2) 3.4% of total population live in areas with high fire risks and low fire service, and (3) of them, social vulnerable person is also included. City of Seoul should implement policies to improve traffic speed of fire trucks and support vulnerable people from fire risk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및 연구 질문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