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 Efficacy of Students in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이용수 107
- 영문명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정길(Park Jung Kil)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6권 2호, 69~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전환기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환기 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환기 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환기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Y중학교 신입생 중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 전환기 리더십 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을 선발하고, 그 중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10명과 실험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 1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 토요일 3시간씩 총 4회기로 진행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학교생활적응, 대인관계 그리고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공변량분석(ANCOV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학교생활적응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가 더 향상되었다. 셋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더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전환기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대인관계 및 자기효능감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chool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lf efficacy of student in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The study examined with pre-test 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even-grade students, which are defi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4 weeks. School Life Adaptation Scale was administrated to all subjects as pre-test and post-test. Also, Interaction Competence Questionaire Scale and Self Efficacy Scale were administrated to all subjects as pre-test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ANCOVA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from control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 from controlled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efficacy from controlled group.
목차
Abstract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