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Differences of Cluster Types Based on the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솔뫼(Jeong, Sol-mwe) 선혜연(Seon, Hye-y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3호, 313~3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1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 하고, 각 군집에 따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6월에 4년제 대학 5개교의 재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정서· 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진로결정수준검사, 진로준비행동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군집을 확인하였다. 군집 1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낮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높은 이상적 유형, 군집 2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 보다 높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낮은 총체적 문제형, 군집 3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모두 평균보다 높은 관계유능-진로문제형으로 명명하였 다. 또한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수준은 이상적 유형이 총체적 문제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에 비해 높았고, 진로준비행동은 이상적 유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 총체적 문제형에 비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을 기준으로 군집 분류가 가능하며, 각 군집에 따라 차별적 진로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fferent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s among clusters formed depending on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2 college school students. And two-stage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and a posteriori test were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e presence of three clusters. The first of these was Cluster 1, characterized by low scores o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high scor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t was termed the “Ideal type”.
Second was Cluster 2, characterized by high scores for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low score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rmed the “Overall problem type”. Third was Cluster 3, characterized by high scores o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name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career problem type”. Second, the MANOVA result indicated that the three groups significantly differ in their scores acros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