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s’ Description based on Transitivity Syst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해영(Lee, Hae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3호, 217~2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10

국문 초록
역사교과서 서술은 최대한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여 저자의 의도를 최대한 숨기려고 하지만 문장형식과 같은 장치를 통해 서술상에 그 의도가 드러나기 마련이다. 현재 역사교과서가 민족주의 중심으로 쓰여졌다는 비판과 더불어 학생들이 이런 영향을 받아 국가의 발전, 고통과 시련의 역사, 국난극복의 역사 등으로 역사를 이해한다는 연구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역사교과서 서술 방식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좀더 실증적으로 확인해보고자 체계기능언어학의 요소들 중 관념적 의미를 이루는 동사성 체계를 기반으로 동아시아사 교과서와 한국사 교과서의 임진왜란 서술을 분석하 였다.
임진왜란을 다루는 동아시아사와 한국사 교과서 속의 참여 주체자와 프로세스를 살펴본 바 두 교과서가 추구하고는 서술의 방향이 달랐음을 알았다. 각각 교육과정도 다르게 서술되어 있기 때문에 두 교과서의 서술도 다를 것이라고 자연스럽게 생각할수 있다. 그러나 한국사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맞춰 서술하면서도 임진왜란을 국난극 복의 역사적 사례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표면적 서술과 달리, 암묵적으로 민족주의에 입각한 관점이 담겨져 있었다. 요컨대, 한국사 교과서가 민족주의 관점에서 임진왜란을 다루고 있음을 동사성 체계로 입증할 수 있었다. 반면, 동아 시아사 교과서는 3국의 국제전으로 임진왜란을 인식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study how to differentiate the imjin war’s description between
korean history textbook and east asian history textbook using transitivity system. If many people interpret differently at same event, the texts should be also describ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viewpoints. Transitivity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participant, process, and circumstances shows faithfully th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wo textbooks are reflected on the each curriculum sincerely. In east asian textbook, imjin war is considered as international war in the textbook. But in the korea textbook, imjin war is considered as the case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except the contents which the korean curriculum presented. Though korean history curriculum don’t suggest this viewpoints precisely, the textbook stresses the history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implicitly.
목차
I. 들어가는 말
Ⅱ. 동사성 체계
Ⅲ.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Ⅳ. 동아시아사, 한국사 교과서의 “임진왜란” 단원 서술 분석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